깃 커밋 메시지 작성 방법

커밋 메시지란?

말 그대로 깃 커밋을 할 때 남기는 메시지. 나는 깃을 이용할 때에 CLI보단 Git Fork나 SourceTree같은 GUI툴을 사용하는 편이다.

프로젝트를 진행하거나 실무를 진행할 때에도 혼자서만 작업을 진행하다보면 커밋 메시지를 딱히 신경쓰지 않게 되더라.

그렇게 업무를 진행하다보면 이 부분에 대해서 의문이 생기고 뭔가 룰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순간이 온다.

커밋 메시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이유

커밋 메시지를 마음대로 남기다 보면 분명 이 메시지에 규칙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순간이 오게된다.

내가 느낀 지점은 크게 3가지가 작용했다.

  1. 업무,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과거 코드를 분석하고 싶을 때
  2. 팀원 또는 내가 잘못 푸시하거나 배포한 코드를 확인하고 싶을 때
  3. 개발 코드 및 운영 코드를 롤백하고 싶을 때

이런 경우에 커밋 메시지의 규칙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해당 커밋에 태그를 잘 남겨놓았으면 모를까, 어찌어찌 문제가 있거나 보고싶은 커밋을 찾았더라도 메시지가 잘 남겨져있지 않으면 일일히 코드를 확인해야 함을 느꼈다.

커밋 메시지를 잘 작성해 뒀더라면, 빠르게 내용을 파악할 수 있지 않을까?

커밋 메시지 레퍼런스 찾아보기

잘 작성된 커밋 메시지는 무엇일까? 여러가지 레퍼런스를 찾아보니 다양한 규칙이 있었다.

인터넷을 찾아보면 크게 작성 규칙과 타입을 작성하는 규칙이 가장 많이 나온다.

작성 규칙

  1. 제목과 본문을 빈 행(한 줄 띄우기)으로 구분
  2. 제목을 50자 내로 제한
  3. 제목 첫 글자는 대문자로 작성
  4. 제목 끝에 마침표 넣지 않기
  5. 제목은 명령문으로 사용하며 과거형을 사용하지 않기
  6. 본문의 각 행은 72글자 내로 제한
  7. 어떻게 보다는 무엇(What)과 왜(How)를 설명

이런 규칙이 가장 많이 보편화 되어있고 나오는 듯 하다.

규칙을 읽어보면 알다시피 영문을 기준으로 하는 것 같고, 나머지는 팀별 규칙에 따라 유연성을 가지고 참고하면 될 것 같다.

타입 규칙

  1. feat (feature) - 새로운 기능 추가
  2. fix (bug fix) - 버그 픽스
  3. docs (documentation) - 문서 수정
  4. style (formatting, missing semi colons, …) - 코드 로직의 변경 없이, 스타일과 포맷팅의 변화만 줄 경우
  5. refactor - 코드 리팩토링
  6. test - 테스트 코드
  7. chore (maintain) - 빌드, 패키지 등

주로 커밋 메시지의 제목 앞에 타입을 명시하고 해당 커밋이 무슨 일을 하는지 바로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나는 GUI툴을 사용하다보니 해당 타입들만 잘 지켜도 보기 편해지겠다.

어떻게 작성할까

대충 어떻게 사용할 지에 대한 규칙을 정했다면 작성법만 정하면 된다. 일단 개인적으로 쓰나 팀으로 쓰나, 글자 수라던가에 대한 규칙까지 정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했다.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제목에 타입만 잘 적어도 한결 도움되지 않을까 해서 정해보았다.

[feat] 자동완성 기능 추가

통합검색 부분에 자동완성 기능을 추가한다.

- 본문검색 X
- 키워드 검색 위주

위의 예시정도만 지켜서 사용해보자.

적용하고 몇개월간 사용해봤더니 장단점

확실히 처음 생각처럼 과거코드를 살펴보거나 해당 커밋의 내용을 볼 때는 편해졌다. 근데 풀리퀘스트를 이용해서 머지를 하게 되면 깃랩, 깃허브의 merge 커밋이 생기는데 해당 커밋 메시지까지 수정이 가능한지 잘 모르겠다. 어떻게 해야 잘 관리할수 있을지는 좀 더 공부를 해야겠다. 그래프의 그림도 이쁘게 만드려면 git 공부를 더 해야겠다.